※ 앰버 드리프트 현상: 빛을 만들어내는 방식(광원)에 따라 램프의 종류별로도 빛의 색이 서로 다른데, 특히 백열등은 디머에 의해 빛의 밝기가 줄어들게 되면 점점 더 노랑을 띠게 된다. 이를 앰버 드리프트(amber drift) 현상이라고 한다.
빛의 방향(direction)
1. 두광/톱조명(top light)
배우의 머리 위에서 비추어지는 빛을 말한다. 배우의 얼굴을 그늘져 보이게 하므로 얼굴 윤곽을 제대로 볼 수는 없으나 배우를 공간적으로 독립시키는 효과를 주고, 배우의 키를 작아 보이게 한다.
2. 후광(back light)
배우의 뒤에서 오는 빛을 말한다. 배우의 얼굴은 전혀 볼 수 없고 실루엣만을 보여 준다. 배우를 무대 뒷배경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효과가 있다.
3. 측광(side light)
무대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서 들어오며 배우의 옆면을 비추는 빛을 말한다. 배우를 중심으로 45도의 위치에서 들어오는 상측광(high side light)은 가장 자연스럽게 배우를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해주며, 배우의 키 높이에서 들어오는 중측광(mid-high side light)은 배우를 어느 정도 추상적으로 입체화시키고, 바닥으로부터 1미터가 넘지 않는 낮은 높이에서 들어오는 하측광(low side light)은 부자연스럽긴 하나 매우 강하게 배우를 입체화시킨다.
4. 전광(front light)
배우의 정면에서 비추어지는 빛을 말한다. 배우의 얼굴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기는 하지만 평면적으로 보이게 하며, 배우를 무대 뒷배경으로 밀어내는 단점이 있으므로 다른 방향에서 들어오는 빛과 잘 혼합하여 사용할 때 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5. 각광(foot light)
무대 앞쪽 바닥으로부터 배우의 얼굴을 향해 위쪽으로 비추어지는 빛을 말한다. 부자연스런 느낌을 주고 커다란 그림자를 무대 뒷배경에 만들지만 극적인 효과를 위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빛의 움직임(movement)
※ 크로스 페이드: 켜져 있는 조명의 빛의 밝기를 줄이면서 다른 조명기의 빛을 불러오게 되면 빛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를 크로스 페이드(cross fade)라고 한다.
W(전력) = V(전압) X A(전류) : 웨스트 버지니아 공식(West Virginia formular)
P(전력) = I(전류) X E(전압) : 파이 공식(pie formular)
R(저항) = E(전압) / I(전류) : ohm' law